본문 바로가기

건강

[건강] 병원에서 하는 물리치료, 냉치료에 대해 맛만보자 ②

세계 물리치료사 연맹에서의 물리치료 정의

 

물리치료는 손상(impairment)과 기능적 제한 그리고 장애(disability) 또는 기타 질병과 관련된 환자를 진단하고, 진행 과정을 확인하며, 중재(intervention)하기 위한 검사를 포함한다.

 

우리나라 통증의학과, 재활의학과, 의원, 병원 등에서 대표적으로 실시되는 냉 치료에 대해 알아보자. 

 

★ 냉 치료(cold therapy)

급성 발목 부상 아이스팩 적용

정의 : 한냉요법이라고 하며 신체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사용하고, 전신 또는 국소부위에 적용하는 치료법이다. 얼음방, 냉 족욕, 냉 샤워, 냉 압박, 아이스팩법 등등이 있지만, 병원에서는 주로 아이스팩법을 사용한다. 

아이스팩 적용

적응증 : 근육통증, 연부조직 손상을 일으키는 급성 부상으로 삐거나 붓는데 사용되며 수술 후 붓기를 줄이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냉치료의 적용은 손상 후 24~72시간 동안, 또는 급성출혈이나 모세혈관 출혈이 멈출 때까지 시행합니다. 

손목 급성 통증

냉 치료의 효과

 

1. 한냉의 생체 물리적 효과

얼음을 이용하여 냉각시킬 때에, 피부 온도는 초기에 급격하게 떨어지다가 그 후에는 서서히 떨어지면서 10분경에는 체온보다 약 12-13정도 낮게 평형온도에 도달하게 된다. 피하 온도는 더 서서히 떨어져서 10분경에는 체온보다 약 3-5정도 낮아지게 되며, 심부 근육이 온도는 훨씬 더 서서히 떨어지게 된다. 피하 지방층은 절연 역할을 하는데, 뚱뚱한 사람은 마른 사람에 비해 지방층이 두껍기 때문에 심부 근육의 온도는 훨씬 더 서서히 떨어지게 된다.

한냉치료시 혈관수축된 지방층이 절연 역할을 하기 때문에, 표피로부터 근육이 다시 덮여지는 것이 지연되고, 혈관수축 때문에 내측에서부터 재가온되기도 어렵다. 이것은 온열치료로 온도가 증가되었을 때, 혈류가 증가되어 근육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것과는 아주 다르다. 한냉치료시 유발되는 혈관 수축은 혈류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가온 및 충혈된 조직에 비해 냉각된 조직이 정상온도로 회복되는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

 

2. 통증 감소 효과

통증을 유발하는 근연축, 경련성, 외상후 종창, 염증반응 등을 감소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통증을 없애줄 뿐만 아니라, 통증을 감소시키는 반대자극재(counter irritant)로도 사용된다

통증은 부종감소로 인해 간접적으로도 좋아지지만 신경섬유에 직접적으로도 작용해서 통증을 완화시킨다. 통증 있는 관절을 충분히 냉각시키면, 통증 역치가 올라가기 때문에 통증은 감소한다. 한냉으로 인한 통증완화는 반대자극 효과이거나 혹은 엔돌핀의 방출로 인한 것이다.

 

3. 기계적인 외상

한냉치료의 주요한 적응증 중의 하나는 급성 근골격계 외상이다. 한냉치료는 손상후 흔히 생길 수 있는 저산소성 손상을 감소시키고, 부종을 제한하며, 회복 속도를 빠르게 해주고, 구획내 압력을 감소시켜 준다. 한냉이 골절후 생기는 종창을 감소시키지는 못할지라도, 급성 연부조직 손상시에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냉치료는 염좌같이 급성이지만 심하지 않은 외상에 적용할 수 있고, 혈관 수축을 유발하여 종창과 출혈을 감소시킨다. 통증은 통각 신경섬유와 감각 말단부에 직접 작용하여 감소된다. 간접적으로 종창과 출혈을 예방함으로서 통증이 감소된다. 또한 근연축을 해결시켜서 간접적으로 통증이 감소된다. 혈관 수축은 교감신경섬유를 통해서 반사적으로 나타날 수 있고, 또한 체온저하가 혈관에 직접 작용하여 나타날 수도 있다.

 

★치료 순서

 

1. 대상자의 치료 부위에 따라 달라지나 치료 받는 동안 움직이지 않을때 불편하지 않는 자세로 시행한다.

2. 치료부위는 가능하면 심장보다 높이는 것이 효과적이다. 

3. 얼음 주머니라면 20~30분, 얼음컵이라면 7분~10분정도 시행하는 것이 부작용이 덜하다.

4. 치료 부위의 감각이 다소 둔해질 때까지 진행한다.

* 치료 부위의 지방층의 두께에따라 유동적으로 실시해야한다.

 

★금기증

 

1. 냉각 알러지 : 냉각에 과민한 피부를 가지고 있다면 치료를 계속 진행하기 힘듭니다.

3. 심혈관이나 폐질환 : 고혈압이나 혈액 순환에 문제가 있다면, 시행하지 않는 것이 좋다.

4. 냉감각 저하 또는 과민 : 냉각을 느끼는 감각이 저하되어 있다면 피부 온도가 매우 낮아져도 느끼지 못하여 세포 괴사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냉각을 느끼는 감각이 과민되어 있다면 치료 과정이 불쾌하여 진행 하기 어렵습니다. 

5. 신경마비 : 신경이 마비되어 있다면 조직이 괴사되어도 알 수가 없다.